메흐메트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흐메트 4세는 1642년 이스탄불에서 태어난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1648년 6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쾨프륄뤼 가문의 재상들이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크레타 섬 정복, 트란실바니아 및 폴란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했다. 그는 사냥을 즐겨 '사냥꾼'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1683년 빈 전투의 패배 이후 퇴위하여 1693년 사망했다. 그는 여러 명의 후궁과 자녀를 두었으며, 두 아들 무스타파 2세와 아흐메드 3세가 술탄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계 튀르키예인 - 바예지드 2세
바예지드 2세는 1481년부터 1512년까지 오스만 제국을 통치했으며, 동생과의 왕위 쟁탈전에서 승리하고 영토 확장과 유대인 포용 정책을 펼쳤으나, 아들 셀림 1세에게 폐위된 술탄이다. - 그리스계 튀르키예인 - 셀림 1세
1512년부터 1520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던 셀림 1세는 형제들을 처형하여 내분을 제거하고 아시아 및 이집트 정복에 집중하여 영토를 확장,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메카와 메디나를 보호하며 수니파 이슬람 세계의 맹주가 되었다. - 1642년 출생 - 이하라 사이카쿠
이하라 사이카쿠는 1642년에 태어나 하이카이 시인으로 활동하다 소설가로 전향하여 우키요조시라는 새로운 소설 장르를 확립하고, 호색물, 마치닌물, 무가물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썼으며, 『호색일대남』, 『일본영대장』, 『세켄무네산요』 등의 대표작을 통해 당시 사회와 인간의 욕망을 묘사하여 일본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642년 출생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은 영국의 물리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연금술사, 신학자로 고전 역학의 기초를 세운 만유인력의 법칙과 뉴턴 운동 법칙을 발견했으며, 미적분학 개발, 반사 망원경 발명 등 수학과 광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긴 과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1693년 사망 - 마르크바르트 제바스티안 솅크 폰 슈타우펜베르크
마르크바르트 제바스티안 솅크 폰 슈타우펜베르크는 가톨릭 성직자로서 밤베르크 주교령의 제후-주교로 선출되어 제호프 성 건설과 그라이펜슈타인 성 재건축 등 건축에도 관여했다. - 1693년 사망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메흐메트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메흐메트 4세 |
다른 이름 | 아브즈 메흐메트 |
로마자 표기 | Meḥmed-i rābi |
터키어 표기 | IV. Mehmed |
터키어 다른 표기 | Avcı Mehmed |
출생일 | 1642년 1월 2일 |
출생지 | 톱카프 궁전, 콘스탄티노플, 오스만 제국 |
사망일 | 1693년 1월 6일 |
사망지 | 에디르네, 오스만 제국 |
매장지 | 투르한 술탄 영묘, 예니 자미, 이스탄불, 튀르키예 |
종교 | 수니파 이슬람 |
![]() | |
칭호 | 오스만 칼리프 아미르 알무미닌 두 성지의 수호자 |
통치 | |
즉위 | 1648년 8월 8일 |
퇴위 | 1687년 11월 8일 |
이전 통치자 | 이브라힘 |
다음 통치자 | 쉴레이만 2세 |
섭정 | 쾨셈 술탄 (1648년 8월 8일 – 1651년 9월 2일) 투르한 하티제 술탄 (1651년 9월 3일 – 1656년) |
통치자 유형 | 오스만 제국의 파디샤 |
가문 | |
왕가 | 오스만 왕조 |
아버지 | 이브라힘 |
어머니 | 투르한 술탄 |
배우자 | |
정실 부인 | 에메툴라 라비아 귈누쉬 술탄 |
기타 배우자 | 기타 |
자녀 | |
아들 | 무스타파 2세 아흐메트 3세 |
딸 | 하티제 술탄 움무귈쑴 술탄 파트마 에메툴라 술탄 |
자녀 정보 링크 | 자녀 |
2. 초기 생애
메흐메트 4세는 1648년 6세의 어린 나이로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었으나, 즉위 초 제국은 혼란스러웠다. 할머니 쾨셈 술탄이 섭정을 하며 권력을 행사했지만, 1651년 메흐메트 4세는 할머니의 처형에 동의해야 했다.[5] 궁정 내부 암투 외에도 아나톨리아 봉기,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해전 패배, 콘스탄티노플 식량 부족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1642년 톱카프 궁전에서 술탄 이브라힘과 투르한 술탄 사이에서 태어났다.[2] 출생 직후, 아버지 이브라힘은 격분하여 메흐메드를 지하 저수조에 던졌다. 하렘 시녀들이 구출했지만, 이 사건으로 메흐메드는 평생 머리에 흉터를 갖게 되었다.[4] 1649년 동생들인 스레이만, 아흐메트와 함께 할례를 받았다.
3. 통치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어머니 투르한 술탄은 쾨프륄뤼 메흐메트 파샤를 대비지르로 임명하여 전권을 위임했다. 1656년 대비지르에 취임한 쾨프륄뤼 메흐메트 파샤는[6] 강력한 정책으로 제국 안정에 기여했다. 이후 쾨프륄뤼 가문 출신들이 연이어 대비지르에 임명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쾨프륄뤼 시대라 불리는 안정기를 맞았다.[6]
쾨프륄뤼 메흐메트 파샤와 그의 아들 파즐 아흐메트 파샤는 크레타 전쟁 (1645년-1669년) 동안 베네치아로부터 에게해 제도와 크레타 섬을 되찾았다.[7] 트란실바니아(1660년)와 폴란드(1670년-1674년)에 대한 성공적인 전투를 통해 포돌리아와 우크라이나 우안으로 지배를 확장, 러시아-튀르크 전쟁 (1676년-1681년)으로 이어졌다.
1672년과 1673년, 메흐메트 4세는 파즐 아흐메트 파샤와 함께 두 차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원정에 참여, 카마니치 성을 획득하고 부카슈 조약 체결 후 에디르네로 돌아왔다.
1683년 빈 전투에서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군과 황제군 등 동맹국에게 패배하며[9] 대튀르크 전쟁이 시작되었다. 신성 동맹 군대는 오스만 제국을 발칸 반도로 몰아냈다.
1683년 왕령 헝가리에서 임레 퇴쾨리 등이 합스부르크 왕가에 반란을 일으키고 오스만 제국에 지원을 요청했다. 대베지르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빈을 포위했지만, 빈 제2차 공방전은 실패하고 카라 무스타파는 처형당했다. 이후 대튀르크 전쟁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고, 1686년 부다를 빼앗겼다. 1687년 모하치 전투 패배 후 반란으로 메흐메트 4세는 퇴위하고 술레이만 2세에게 황위를 물려준 뒤 유폐되었다.[7]
3. 1. 즉위
메흐메트 4세는 1648년, 6세의 어린 나이로 오스만 제국의 술탄 자리에 올랐다. 당시 제국은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즉위 초, 할머니 쾨셈 술탄이 섭정을 맡아 권력을 행사했다. 쾨셈 술탄은 반란을 지원하고 메흐메트 4세를 독살하려 했다는 의심을 받았다.[5] 결국, 메흐메트 4세는 1651년 할머니의 처형에 동의해야 했다.[5] 쾨셈 술탄은 자신의 손자인 메흐메트 4세보다 그의 이복동생 술레이만을 더 다루기 쉽다고 여겨, 메흐메트 4세를 폐위시키고 술레이만을 즉위시키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계획은 사전에 발각되었고, 쾨셈 술탄은 1651년 투르한 술탄이 보낸 암살자에 의해 교살되었다.
이러한 궁정 내부의 암투 외에도, 제국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아나톨리아 지역에서는 봉기가 일어났고, 오스만 해군은 다르다넬스 해협 밖에서 베네치아 함대에게 패배했다. 또한, 콘스탄티노플에서는 식량 부족으로 인해 폭동이 발생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메흐메트 4세의 어머니 투르한 술탄은 쾨프륄뤼 메흐메트 파샤를 대비지르로 임명하고 그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했다. 쾨프륄뤼 메흐메트 파샤는 1656년 9월 14일 대비지르에 취임하여[6]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며 제국의 안정을 도모했다.
이후 쾨프륄뤼 가문 출신의 인물들이 연이어 대비지르에 임명되면서, 오스만 제국은 비교적 안정적인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시기를 쾨프륄뤼 시대라고 부른다.[6]
3. 2. 전쟁
쾨프륄뤼 메흐메트 파샤와 그의 아들 파즐 아흐메트 파샤가 이끈 오스만 제국의 부흥은 주목할 만하다. 그들은 크레타 전쟁 (1645년-1669년) 동안 베네치아로부터 에게해 제도와 크레타 섬을 되찾았다.[7] 또한 트란실바니아(1660년)와 폴란드(1670년-1674년)에 대해 성공적인 전투를 벌였다. 메흐메트 4세가 페트로 도로셴코의 봉신 관계를 받아들이면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포돌리아와 우크라이나 우안으로 확장되었다. 이 사건은 오스만 제국을 러시아-튀르크 전쟁 (1676년-1681년)으로 이끌었다. 그의 다음 비지르인 쾨프륄뤼 메흐메트의 양자 메르지폰루 카라 무스타파는 러시아에 대항하는 전투를 이끌고 1678년 7만 명의 병력으로 치히린을 포위했다.[8] 그는 다음으로 오스트리아의 통치에 반대하는 임레 퇴쾨리의 1683년 헝가리 봉기를 지원하여 거대한 군대를 헝가리를 통해 진군하여 빈을 포위했다. 칼렌베르크 고지에서 벌어진 빈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는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폴란드-리투아니아군과 황제군 등 동맹국에게 참패를 당했다.[9]
1672년과 1673년, 메흐메트 4세는 '세르다르-이 에크렘'이자 대비지르였던 파즐 아흐메트 파샤와 함께 두 차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원정에 참여했다. 카마니치 성을 획득한 후 부카슈 조약 체결 뒤 에디르네로 돌아왔다.
3. 3. 1660년 화재
1660년 7월 4일부터 5일까지 발생한 화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이스탄불) 역사상 최악의 대화재였다.[1] 에미뇌뉘에서 시작된 불은 역사적인 반도 대부분으로 번져 도시의 상당 부분을 태웠으며, 쉴레이만 1세 모스크의 첨탑까지 불탔다.[1] 이 대화재로 이스탄불의 3분의 2가 재로 변했고, 최대 4만 명이 사망했다.[1] 화재 이후에는 기근과 역병으로 수천 명이 더 죽었다.[1]
3. 4. 대튀르크 전쟁
1683년 9월 12일, 얀 3세 소비에스키 국왕 지휘하의 오스트리아군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군은 빈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 전투에서 소비에스키의 폴란드 기병대가 측면 공격을 이끌었다. 터키군은 헝가리로 후퇴했지만, 이는 대튀르크 전쟁의 시작일 뿐이었다. 신성 동맹의 군대는 오스만 제국을 발칸 반도로 몰아내는 성공적인 원정을 시작했다.
1683년에 왕령 헝가리에서 테케리 임레 등이 합스부르크 왕가에 반대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그들은 오스만 제국에 지원을 요청했고, 대베지르 카라 무스타파 파샤는 대군을 이끌고 7월에 빈을 포위했다. 그러나 빈의 방어는 견고했고, 포위전은 장기화되었다. 9월에는 폴란드군과 독일 제후군이 빈에 도착하여 오스만 군과 충돌했다. 장기간의 전쟁으로 오스만 군의 사기가 저하되었기 때문에, 빈 제2차 공방전은 실패로 끝났고, 카라 무스타파는 처형당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대튀르크 전쟁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고, 1686년에는 헝가리 지배의 중심지인 부다를 빼앗겼다. 1687년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군이 패배하자 반란이 일어나 메흐메트 4세는 퇴위하고, 동생인 술레이만 2세에게 황위를 물려준 뒤 유폐되었다.[7]
3. 5. 말년과 죽음
1687년 모하지 제2차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은 심각한 위기에 빠졌다. 오스만 군대 내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사르 술레이만 파샤는 처형되었다. 술탄 메흐메트 4세는 쾨프륄뤼 파즐 무스타파 파샤를 이스탄불의 그랜드 베지어 대리로 임명하여 사태를 수습하려 했다.
그러나 1687년 11월 8일, 결국 메흐메트 4세는 폐위되고 그의 형제인 술레이만 2세가 새로운 술탄으로 옹립되었다. 메흐메트는 오스만 파샤가 지휘하는 예니체리와 세크반의 연합군에 의해 폐위되었다. 이후 톱카프 궁전에 유폐되었으나, 때때로 궁궐 밖을 나가는 것이 허용되었다.
1693년 에디르네 궁전에서 사망했으며, 어머니 투르한 술탄의 묘에 묻혔다. 사망 몇 년 전인 1691년, 메흐메트 4세를 복위시키려는 음모가 발각되었으나 실패했다.
4. 인물
메흐메트 4세는 사냥을 매우 즐겨 '사냥꾼(Avcı)'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정치는 주로 쿄플률류(Köprülü) 일족에게 맡기고, 자신은 취미인 사냥에 몰두했다. 에디르네 사냥터에 수천 명의 농민을 사냥꾼으로 동원했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였다.
에디르네를 주요 거처로 삼은 것은 이스탄불의 여러 압력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함이었다. 즉, 예니체리와 톱카프 궁전의 유력자들의 영향력을 줄여 정권 안정화를 꾀한 것이다.
또한 메흐메트 4세는 사냥으로 들른 마을들에서 비무슬림에게 이슬람교로의 개종을 권유했다. 강제적인 개종은 이슬람에서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자발적인 개종을 장려하고 개종한 무슬림에게는 축하금을 주었다. 이러한 개종 실적은 메흐메트 4세의 종교적 업적으로 칭송받았다. 실라흐다르 핀드클리 메흐메트 아가는 메흐메트 4세를 중간 키에 다부진 체격, 흰 피부, 햇볕에 그을린 얼굴, 수염이 드문드문 나 있고, 많은 승마로 인해 허리부터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라고 묘사했다.
는 제거한다.
5. 가족
메흐메트 4세는 여러 배우자와 자녀를 두었다.
5. 1. 배우자
에메툴라흐 라비아 귤뉘슈 술탄 - 그리스 출신으로, 본명은 에브마니아 보리아(Evmania Voria)이다. 메흐메트 4세의 첫 번째 후궁이자 가장 사랑받았으며, 그의 하세키이자 두 명의 술탄의 어머니였다.[10] 아들인 아흐메드 3세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예니 발리데 모스크를 건립했다.- 아피페 하툰(Afife Hatun) - 아피페 카든(Afife Kadın)으로도 불리며, 메흐메드의 두 번째로 총애받는 후궁이자 시인이었다. 메흐메드 4세 폐위 후 에스키 사라이(Eski Saray)에 유폐되었던 기간 동안, 그녀는 메흐메드의 고통과 "폐가 찢어지도록 비명을 질렀던" 귤뉘슈의 고통을 담은 시를 지었다. 메흐메드 또한 그녀에게 몇몇 시를 바쳤다.[11]
- 귤나르 하툰(Gülnar Hatun) - 귤나르 카든(Gülnar Kadın)으로도 불린다. 그녀의 존재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네브루즈 하툰(Nevruz Hatun) - 네브루즈 카든(Nevruz Kadın)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쉴레이마니예 지역에 학교를 설립했다.
- 귀네쉬 하툰(Güneş Hatun) - 그녀의 존재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굴베이야즈 하툰(Gülbeyaz Hatun) - 기록에 따르면 딸을 낳았으며, 귤뉘슈의 질투로 인해 절벽에서 떨어져 죽거나 교살당했다. 그녀의 존재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하티체 하툰(Hatice Hatun) - "귀네쉬 하툰"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녀의 존재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지한샤 하툰(Cihanşah Hatun)
- 뒤리예 하툰(Dürriye Hatun)
- 카니예 하툰(Kaniye Hatun)
- 루키예 하툰(Rukiye Hatun)
- 시아부쉬 하툰(Siyavuş Hatun)
- 라비아 하툰(Rabia Hatun) - 라비아 카든(Rabia Kadin)으로도 불린다. 존재 여부가 불확실하며, 시인이었다. 아피페 하툰의 가명일 가능성이 있다.
5. 2. 아들
- 무스타파 2세 (1664년 2월 6일 ~ 1703년 12월 29일) - 귈뉘쉬 술탄에게서 태어났으며, 오스만 제국의 제22대 술탄이었다.[10]
- 아흐메드 3세 (1673년 12월 31일 ~ 1736년 7월 1일) - 귈뉘쉬 술탄에게서 태어났으며, 불가리아에서 태어났다. 술레이만 대제 이후 오스만 제국 외부에서 태어난 최초의 술탄이자, 제23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다.[10]
- 셰흐자데 바예지드 (1678년 12월 15일 ~ 1679년 1월 18일) - 무스타파 1세 능에 묻혔다.[11]
- 셰흐자데 술레이만 (1681년 2월 13일 ~ 1691년 이전 사망)[10]
5. 3. 딸
- 하티제 술탄: 귈뉘쉬 술탄과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두 번 결혼하여 다섯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두었다.[11][12]
- 움미 술탄: 유아기에 사망하였다.
- 풀라네 술탄: 1687년 에디르네 주지사 카심 무스타파 파샤와 결혼했다.
- 아이셰 술탄: 귈뉘쉬 술탄과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쿠추크 술탄(작은 공주)'이라는 별명을 가졌다. 두 살 무렵 카라 무스타파 파샤와 약혼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여 결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움미 굴숨 술탄: 귈뉘쉬 술탄과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움미 술탄' 또는 '굴숨 술탄'으로도 불렸다. 삼촌인 아흐메드 2세의 총애를 받는 조카였으며, 아버지가 폐위된 후에도 다른 자매들과 달리 궁정에 머물렀다. 한 번 결혼하여 세 명의 딸을 두었으며, 예니 자미 모스크에 묻혔다.
- 파트마 에메툴라 술탄: 귈뉘쉬 술탄과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12] 두 번 결혼하여 두 명의 딸을 두었다.[13]
- 풀라네 술탄: 굴베이즈 하툰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게브헤르한 술탄: '게브헤르 술탄'으로도 불린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2009
[2]
서적
Turhan Sultan
Yeditepe Yayınevi
2015
[3]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Basic Books
2005
[4]
서적
Inside the Seraglio
1999
[5]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Istanbul: 1700–180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7]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the World Around I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8]
서적
Empire and Military Revolution in Eastern Europe: Russia's Turkish Wars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9]
서적
Osman's Dream: The 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23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6
[10]
서적
The Structure of the Ottoman Dynasty
[11]
서적
ZEYL-İ FEZLEKE (1065–22 Ca. 1106 / 1654–7 Şubat 1695)
[12]
서적
The Journal of Ottoman Studies XII: The Harem of Mustafa II (1695–1703)
[13]
서적
Nusretnâme: Tahlil ve Metin (1106–1133/1695–1721)
[14]
웹사이트
Mehmed IV Ottoman sultan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